표준화와 데이터 보안
그래도 네트워킹은 계속됩니다. 기술 및 혁신 담당 부사장인 Rob Schmit는 한 가지 예를 들어 설명합니다. “창고를 떠나는 패키지에는 필요한 모든 정보(내용물, 상태, 목적지, 원산지 등)를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를 최대한 상세하게 제공함으로써 패키지 자체를 통해 배송 업체에서 어디에서 짐을 싣고, 어디에서 짐을 부려야 할지에 대해 효과적으로 전달하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 간의 데이터 교류가 필요함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이를 위해 먼저 극복해야 하는 걸림돌이 여럿 존재합니다. 가장 큰 장애물은 표준화와 데이터 보안의 부재입니다.
“가치 사슬 전체에 걸쳐 기업들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아야 한다”는 것이 Logistik heute 무역 매거진의 편집장 Thilo Jörgl의 설명입니다. “폐쇄적인 인트라로지스틱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기업은 이러한 종류의 데이터 교환이 불가능하거나 어렵기 때문에 문제에 봉착하게 됩니다.”
인더스트리 4.0의 시대에는 표준화된 시스템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Rob Schmit는 확신을 가지고 다음과 같이 이야기합니다. “시장은 곧 개방형 표준을 요구할 것입니다. 그러나 데이터 보안 문제가 아직까지 해결되지 않고 있습니다. 공동 표준이 필요한 이유가 바로 이것입니다.”
기업과 정부가 이미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움직임에 나섰습니다. 이는 데이터가 기업의 자체 보안 서버가 아닌 인더스트리 4.0의 또 다른 핵심 요소인 클라우드에 저장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